<게임 크리에이터가 알아야 할 97가지 : 크리에이티브한 게임 만들기>
190-191쪽.
적응하는 힘 / 야마노베 카즈키
게임 시나리오 라이터의 입장에서 다수의 게임 타이틀에 참여해온 사람으로서 개발 현장에 오랫동안 활약하기 위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소를 이야기하고자 한다. 바로 '적응하는 힘'이다.
게임 시나리오가 다양화되는 속도는 텔레비전 드라마나 무대와 같은 다른 표현 형식에 비하면 극적일 만큼 빠르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나리오의 볼륨이나 제작 방법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를 계속하고 있다. 그것이 '적응'이라는 단어를 예로 든 이유다.
게임이라는 표현 형식은 RPG나 격투, 음악, 퍼즐 등 장르부터 이미 다양화되어 있다. 또, 콘솔 타이틀이나 아케이드를 시작으로 소셜 게임에 이르기까지 플랫폼도 아야화되어 있다. 게다가 게임 타이틀마다 대사의 볼륨이나 연출 방법도 변한다. (중략) 게임 시나리오 라이터는 그러한 다양성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미 어떠한 기준에서 시나리오다, 아니다를 판단하는 것이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스토리가 없는 시나리오, 회화가 없는 시나리오 등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 자체도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시나리오 라이터의 업무가 아니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시나리오 라이터로서의 장점을 살리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러면 적응하는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먼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 그리고 여러 가지 표현 방식의 작품에 도전하여 배워가는 자세가 중요하다.
나는 지금까지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이나 무대 등 게임 이외의 여러 가지 표현 매체에 참여해서 프로젝트 멤버들의 지적이나 노하우를 겸허히 받아들여왔다. 그렇게 변화하는 것에 긍정적이었기 때문에 다양화되어 가는 게임 시나리오에 있어서도 대응할 수 있었다고 느낀다.
품질 높은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노력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 라이터로서의 기본적 테크닉인 플롯 구성과 임팩트 있는 대사의 작성 능력 등을 키워둔다면 분명히 강한 무기가 될 것이다.
(하략)
'스크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게임 크리에이터가 알아야 할 97가지 크리에이티브한 게임 만들기 (0) | 2015.12.20 |
---|---|
[글] 언어를 지배하는 자가 게임을 지배한다 (0) | 2015.12.20 |
[글] 셰익스피어를 읽어라 (0) | 2015.12.20 |
[글] 재미있다고 생각한 현상을 재구성하여 패턴화하자 (0) | 2015.12.18 |
[글] 밸런스 붕괴를 예방하는 게임 디자인 (0) | 2015.12.18 |